CI를 알아보고 Github에 travis-ci를 적용해보자.
IT 지식/Git

CI를 알아보고 Github에 travis-ci를 적용해보자.

반응형

개발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환경이 늘어나고 있다. 그중에 CI 기법을 자주사용하는데 그중에 travis ci를 알아보자. 

우선 CI(Continuous Integration)란 무엇인가? 

CI는 개발자가 개발한 소스코드가 커밋될 때마다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주고 빌드까지 해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배포와 빌드 테스트를 한번에 진행을 해주면서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대표적인 CI 서버는 Jenkins, Travis 등이 있다. 

그럼 대표적인 SCM인 github와 trivis-ci를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Github와 Travis-ci 연동
1. https://travis-ci.org/ 에서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2. 연동하고자 하는 Repository에 switch를 on 한다.




3. 소스코드 최상단에 .travis.yml 파일을 추가한다. 해당 파일 내부에 설정값 작성 방법은 travi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 저장소는 java 프로젝트이기 떄문에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language: java branches: only: 

- master



4. 해당 repository의 테스트 커밋을 진행한다. 소스에 이상이 없이 정상적으로 커밋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travis에 연동이 완료되었다.
그 다음 내 repository에 README.md 파일에 하단과 같은 태그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README.md 파일에 태그 추가하기
1. travis 페이지에서 README.md 파일에 추가할 url 정보를 가져온다. (markdown으로 가져와야한다.)






2. README.md 파일에 [![Build 로 시작하는 부분을 복사해서 추가한다.

아주 간단하다.
이렇게 travis-ci를 설정해 놓으면 커밋할때마다 오류여부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좋은것같다.

회사 프로젝트도 svn과 jenkins을 연동하여 커밋시 자동으로 빌드되도록 환경 구성을 한번 해봐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