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5 리액티브 스트림 정리 및 api 전달 방식 정리
web/Spring

Spring5 리액티브 스트림 정리 및 api 전달 방식 정리

반응형

리액티브 또는 리액티브 스트림은 오늘날 spring framework에서 뜨거운 토픽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나도 이전 포스팅에서도 정리도 하고 했었는데 아직 확실히 개념이 서질 않아서 다시 정리해봤다.

 

리액티브 스트림 (Reactive Stream) 이란?


리액티브 스트림은 무엇인가? 정확하게 공식문서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https://www.reactive-streams.org/)
Reactive Streams is an initiative to provide a standard for asynchronous stream processing with non-blocking back pressure.This encompasses efforts aimed at runtime environments (JVM and JavaScript) as well as network protocols.

이런 Reactive stream을 spring5에서 포함되었다.

  • Spring core framework는 Reactor와 RxJava를 통해 built-in 리액티브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새로운 spring-flux 모듈을 추가하였다.
  • Spring security 5도 또한 reactive feature를 추가했다.
  • Spring Data umbrella project에서 Spring Data Commons에 새로운 ReactiveSortingRepository가 추가되었는데 가장먼저 redis, mongo, cassandra가 reactive에 지원한다. 불항하게도 일반적인 JDBC 드라이버의 블록킹 프로세스를 할 수 밖에 없는 디자인 때문에 Spring Data JPA는 이 특징에서 이점이 없다.
  • Spring Session또한 reactive feature를 추가하였고 2.0.0.M3qnxj SessionRepository내에 추가되었다.

 

Webflux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스프링5를 통해서 reactive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서비스를 확인해보자.

필요한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parent
spring-webflux
jackson-databind
reactor-core
logback
lombok

데이터를 주고 받을 entity Post 객체

package com.study.webflex.dto;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Builder;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
 * spring-boot-study
 *
 * @author wedul
 * @since 2019-08-14
 **/
@Data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Post {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

 

데이터를 전달받을 Repository 클래스 DataRepository
- 우선 당장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지 않고 이해를 먼저 돕기 위해서 가짜 데이터를 미리 static 블록을 이용해서 넣어놓자.

package com.study.webflex.dao;

import com.study.webflex.dto.Pos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reactor.core.publisher.Flux;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
 * spring-boot-study
 *
 * @author wedul
 * @since 2019-08-14
 **/
@Repository
public class PostRepository {

  private static final Map<Integer, Post> DATA = new HashMap<>();
  private static int ID_COUNTER = 0;

  static {
    // initial data
    Arrays.asList("First Post", "Second Post")
      .stream()
      .forEach(title -> {
          int id = ID_COUNTER++;
          DATA.put(id, Post.builder().id(id).title(title).content("content of " + title).build());
        }
      );
  }

  Flux<Post> findAll() {
    return Flux.fromIterable(DATA.values());
  }

  Mono<Post> findById(Long id) {
    return Mono.just(DATA.get(id));
  }

  Mono<Post> createPost(Post post) {
    int id = ID_COUNTER++;
    post.setId(id);
    DATA.put(id, post);
    return Mono.just(post);
  }

}

WebFlux를 사용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EnableWebFlux와 @Configuration을 달아준다.


WebFluxApi
webFlux는 기존 mvc또한 지원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Controller를 만들어 엔드포인트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부에서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객체 대신 ServerHttpRequest와 ServerHttpResponse 객체로 동작한다.

package com.study.webflex.controller;

import com.study.webflex.dto.Post;
import com.study.webflex.service.Post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reactor.core.publisher.Flux;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
 * spring-boot-study
 *
 * @author wedul
 * @since 2019-08-15
 **/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Controller {

  private final PostService postService;

  @GetMapping(value = "")
  public Flux<Post> all() {
    return postService.findAll();
  }

  @GetMapping(value = "/{id}")
  public Mono<Post> get(@PathVariable(value = "id") int id) {
    return postService.findById(id);
  }

  @PostMapping(value = "")
  public Mono<Post> create(Post post) {
    return postService.createPost(post);
  }

}

실행하면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해서 볼 수있다.

webflux mvc로 출력된 결과

그리고 또다른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RouterFunction과 HandelrFunction을 정의해서 구현해야한다.

HandlerFunction은 http요청을 ServletRequest객체로 가져와서 Mono형태로 값을 반환하고 RouterFunction은 http요청을 HandlerFunction으로 다시 Mono의 형태로 라우팅해준다.

우선 요청을 받아서 작업을 진행할 Handler를 정의한다.

package com.study.webflex.handler;

import com.study.webflex.dto.Post;
import com.study.webflex.service.Post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reactive.function.server.Server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reactive.function.server.ServerResponse;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
 * spring-boot-study
 *
 * @author wedul
 * @since 2019-08-15
 **/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Handler {

  private final PostService postService;

  public Mono<ServerResponse> all(ServerRequest serverRequest) {
    return ServerResponse.ok().body(postService.findAll(), Post.class);
  }

  public Mono<ServerResponse> get(ServerRequest serverRequest) {
    String id = serverRequest.path();
    return ServerResponse.ok().body(postService.findById(Integer.valueOf(id)), Post.class);
  }

  public Mono<ServerResponse> create(ServerRequest serverRequest) {
    return serverRequest.bodyToMono(Post.class).doOnNext(post -> postService.createPost(post)).then(ServerResponse.ok().build());
  }

}

그리고 RouterFunction을 정의하자 하나의 route를 정의하여 엔드포인트를 지정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andRoute를 통해 연속적으로 지정할수도 있다.

/** * spring-boot-study * * *@author *wedul * *@since *2019-08-15 **/@ComponentScan@EnableWebFlux@Configurationpublic class WebFluxConfig {

  @Bean  
  public RouterFunction<?> routes(PostHandler postHandler) {
    return RouterFunctions.route(GET("/route").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all)
      .andRoute(GET("/route/{id}").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get)
      .andRoute(GET("/route/create").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create);  
    }
}

RouterFunction으로 나온 결과

동일하게 결과가 잘 나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여기서 왜, 그리고 언제 spring reactive를 사용하는게 좋은것일까? 아직까지는 위의 예제를 봐도 크게 어떤 부분 때문에 비동기, 논 블록킹을 스프링에서 사용하는지 언제 사용하는게 효율적인지 잘 모르겠다. 이게 나도 가장 궁금해서 이유를 찾아봤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쓰레드는 요청이 들어오면 끝날때까지 유지된다. 만약 데이터에 접근하고 기록하고 하는 작업이 있다면 이 작업들이 마무리 될 때까지 기다리고 있어야해서 쓰레드 낭비가 커진다.

그래서 응답은 바로 전달하는 non blocking에 비동기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게 유리하다.
그런데 궁금한게 또 생겼다. 비동기-논블록킹으로 api를 만들면 비동기로 작업이 진행중인데 작업이 종료된 후 어떻게 client에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건가?

바로 SSE (Server Sent Event) 개념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전달된다. 예전에 spring 3.2 부터 추가 되었던 비동기 프로세스에 정리한적이 있었다. https://wedul.site/157

마찬가지로 spring5 reactor에서도 이 개념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우리가 spring webFlux를 사용할 때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변화가 발생한다. reactor api에서 제공하는 publisher정보를 우리가 subscribe할 때 publisher는 client에게 각각의 아이템을 serialize하여 대량으로 전달한다.

이런 방식으로 우리는 많은 쓰레드를 생성하지 않고도 대기하고 있는 쓰레드를 이용하여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webflux에서 이런 로직을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알아서 지원해준다.

위에 정리했었다고 언급했던 spring mvc 3.2부터 추가된 AsyncResult, DefferedResult, Ssemiter등을 사용하면 webflux와 비슷하게 사용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내부적으로 Spring mvc는 스레드를 하나 생성하여 long polling 작업을 위해서 쓰레드를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비동기의 장점을 이용하기에는 어렵다.

실제로 예전 직장에서 long polling으로 client와 세션을 유지시키고 있을 때 대량의 사용자가 붙으면 설정했던 thread 개수를 초과해서 문제가 생긴 경험이 있다.

webFlux에서 이문제가 해결된다니 정말 좋은 것 같다. 왜 사용하는지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다.

그럼 말로만 하지말고 실제로 클라이언트에게 값을 전달을 해주는지 테스트해보자. 위에서 했던 소스는 데이터 양도 적고 값이 바로 나오기 때문에 정말 그렇게 나오는지 알 수가 없었다.

그럼 대기시간을 부여해서 확인해보자.


 

쓰레드 반환 후 결과값은 추후에 client에게 전달해주는지 테스트


우선 FouterFunction에 엔드포인트를 하나 더 추가하자.

@Bean
public RouterFunction<?> routes(PostHandler postHandler) {
  return RouterFunctions.route(GET("/route").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all)
    .andRoute(GET("/route/{id}").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get)
    .andRoute(GET("/route/create").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create)
    .andRoute(GET("/delay/client").and(accept(APPLICATION_JSON)), postHandler::clientDelay);
}

그리고 delay기능을 추가하여 ServerResponse를 반환해보자.
만약 정상적인 결과라면 위에 println이 먼저 로그에 찍히고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는 3초뒤에 나올 것 이다.

public Mono<ServerResponse> clientDelay(ServerRequest serverRequest) {
  Flux<Post> post = Flux.interval(Duration.ofSeconds(2))
    .take(3)
    .flatMap(number -> postService.findById(number.intValue()));

  System.out.println("test");
  return ServerResponse.ok().body(post, Post.class);
}

예상대로 로그는 먼저 찍힌다.

그리고 브라우저에서 결과는 예상대로 3초뒤에 출력되었다.


이제 정리가 되었다.

결론을 내리면 결과값을 기다릴 필요가 없이 비동기 논블록킹으로 동작하고 쓰레드를 반환하면 더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 같다. 그리고 webflux api를 사용할 경우에 걱정할 필요없이 값이 완료되면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걸 확인 할 수 있었다.

비동기-논블록킹 프레임워크에서 중간에 블록킹이 걸리면 비효율적일 것 같다. 그래서 당장은 jdbc를 쓰는 경우에서는 쓰기 어렵겠지만 NoSq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고려해볼만 할 것 같다.


공부에 사용한 저장소
https://github.com/weduls/spring5


출처 및 도움이 되었던 사이트
https://supawer0728.github.io/2018/03/11/Spring-request-model3/
https://techannotation.wordpress.com/2018/04/24/spring-reactive-a-real-use-case/
https://inyl.github.io/programming/2018/03/10/springboot2_api.html
https://stackabuse.com/spring-reactor-tutorial/
https://supawer0728.github.io/2018/03/15/spring-http-stereamings/

반응형